전체 글
-
일제시대 때 광화문역사에 대해/우리나라 역사 2022. 8. 30. 17:17
광화문 광장이 다시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일제 시대 때 우리 광화문을 어땠을까 사진으로 돌아보고자 한다. 1. 1903년 일제가 철거하기 전 광화문 계단 모습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전의 광화문 계단 모습으로 광화문 바로 앞에 월대(돌계단, 원 표시)와 좌우의 돌 난간이 길게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가운데는 임금의 전용문으로 아무나 드나들 수 없었다고 한다. 2. 철거되기 시작하는 광화문 계단 (1906년) 광화문 계단 철거는 일제가 공진회 산업 박람회 구상으로 계획된 사건이다 왼쪽에 표시된 사람을 비교할 때 계단 높이를 예측할 수 있다 중앙부분은 흙으로 계단을 덮어 인력거와 차량이 통화할 수 있도록 높이를 올렸다고 한다 3. 광화문 월대 철거 (1906년) 광화문 앞 중앙에 있는 월대가 철거되고 자..
-
명도에 대해, 경매 전 확인할 것들경제에 대해/부동산에 대해 2019. 10. 21. 18:01
명도에 대해 꼭 알아야 할 것들 첫째, 낮은 자세로 상대방의 입장을 최대한 들어야 합니다. 낙찰자가 우월한 지위를 갖는 것은 사실이지만 상처 받고 불안에 떠는 상대방의 마음을 먼저 어루만져 주라는 부분입니다. 전략은 그다음에 세우고, 처음 방문할 때 음료수나 수박이라도 한 통 사들고 가면 분위기는 훨씬 좋아집니다. 둘째, 확답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예를 들면 공동투자라서 혼자서 결정 못합니다. 남편, 아내 등과 강의를 해야 합니다. 등등 이것은 이 라는 책에도 나오는 매우 유용한 전략입니다. 셋째, 법률적 대응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단 법대로는 최후의 수단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넷째, 협상 내용을 명문화합니다. 법적인 구속력은 전혀 없지만 상호 간에 합의된 내용을 합의 이행 각서라는 서류로 작성해 ..
-
부동산 경매에 대해경제에 대해/부동산에 대해 2019. 10. 15. 23:58
◈부동산 경매란 '돈을 빌려준 채권자에게 빌린 채무자가 이 돈을 갚지 못하여 빌려준 이(채권자)가 법원을 통해 신청하면 법원의 중재 하에 빌린 이의 부동산을 공개적으로 팔아 그 돈을 정해진 절차(배당)을 통해 공정히 나눠주는 절차를 말합니다. ◈경매와 공매 우리가 늘 이야기하는 경매는 법원에서 진행하는 법원경매를 말합니다. 공매는 세금을 내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산관리공사에서 진행하는 것을 공매라고 합니다. 진행하는 주체가 법원이 아니라 자산관리공사라는 점을 제외하면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경매 진행과정 1. 경매 신청 2. 경매 개시 결정 3. 배단요구종기일 지정 4. 매각준비 5. 매각결정기일 지정, 공고, 통지 6. 매각(입찰) 실시 7. 매각 허가, 불허가 심사 8. 매각허가 ..
-
독일의 명품 정치 시스템역사에 대해/각 나라에 대해 2019. 3. 29. 17:06
독일의 명품 정치 시스템 독일 정당에 대해 얘기하기 전에 독일의 국가 및 정치 체제를 간단히 살펴봅시다. 독일은 16개 주로 구성된 연방공화국입니다. 독일의 의회는 상하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행정부는 총리를 수반으로 하는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행정부는 총리를 수반으로 하는 의원내각제 형태를 띕니다. 그 결과, 독일의 국가 권력은 여러 주 정부, 연방 상원 하원에 각각 분산되어 있습니다. 행정부 내에서도 총리가 모든 정책을 좌지우지할 수 없습니다. 즉, 정치와 권력의 독과점이 발생하기 어려운 형태입니다. 독일의 정당들은 대부분 상당히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민당은 1875년 설립되어 140여 년 간 기민당,기사당,자민당은 서독 건국 이전에 창당된 이래 70여 년간 이어지고 있습니다..
-
엄마표 생활 절약알면 좋을 것들 2019. 3. 26. 16:04
엄마표 생활 절약 조금만 주위를 둘러보면 절약할 수 있는게 많습니다. 1. 에너지 아끼면 돈 주는 탄소포인트제 에너지를 아끼기 위한 운동으로 환경부에서는 209개의 지자체와 함께 탄소포인트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탄소포인트 홈페이지는 www.cpoint.or.kr 입니다.한번 가입을 해두면 해마다 이낀 금액만큼 현금으로 돌아오는 겁니다. 참여시점으로부터 과거 2년간 월별 평균 사용량과 이달의 사용량(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등)을 확인해서 지방자치단체별로 온실가스 감축률을 측정해 포인트를 줍니다. 포인트는 1년에 두번 받을 수 있고, 상반기는 당해년도 12월, 하반기는 다음 연도 6개월에 받을 수 있습니다. 아파트는 주소만 입력해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일반주택은 전기요금 고지서에 있는 고객번호를 알면 된..
-
식품처가제인 유화제, 팽창제알면 좋을 것들 2019. 2. 15. 14:39
빵, 과자 먹음직스럽게 하는 유화제, 팽창제 베이커리 옆을 지나가다 보면 문틈으로 흘러 나오는 향기로운 빵 냄새에 자신도 모르게 문을 열게 됩니다. 식빵을 비롯해 앙금 빵, 패스트리, 카스텔라, 케이크 등 종류도 가지가지입니다. '각종 첨가물이 들어가고 가공도 많이 한 과자보다 빵이 몸이 좋겠지' 라고 보통 생각합니다. 빵의 원료는 밀, 우유, 달걀, 이스트 정도일테니 틀린 생각도 아닌 것 같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편의점이나 제과점에서 개별 포장이 돼 있는 빵을 집어 포장지 뒷면을 보면 '원재료명 및 함량' 란에 깨알 같은 글씨가 가득합니다. 앞에 든 기본 재료 뒤에도 목록은 한참이나 계속됩니다. 모 업체의 팥빵에는 유화제, 황산칼슘,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같은 첨가제가 쓰이고 있습니다빵 하나를 만드..
-
색소와 발색제에 대해. 아질산나트륨에 대해알면 좋을 것들 2019. 2. 14. 11:45
1. 색소와 발색제에 대해 '바나나는 원해 하얗다' 수십 년 째 바나나 맛 우유 시작에서 부동의 1위를 지키는 B사의 바나나 맛 우유를 공략히기 위해 M사는 제품 이름까지 '무색소/천영과즙우유'라고 지었습니다. 사실 바나나 껍질이 노랗지 속은 옅은 베이지색인데도 우리는 노란 바나나맛 우유를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것 같기도 합니다. 색은 향만큼이나 제품의 '정체성'을 알리는데 기여하는데 많은 경우 서로 짝을 이루고 있습니다. 사탕을 봐도 흰색은 파인애플향, 노란색은 바나나향. 주황색은 오렌지향, 녹색은 사과향, 빨간색은 딸기향입니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식품에는 타르계 색소가 많이 쓰였습니다. 색이 선명하고 저렴할 뿐 아니라 시간이 흘러도 잘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타르계 색소가 암을 일으키..
-
MSG에 대해카테고리 없음 2019. 2. 13. 01:00
MSG에 대해 1900년대 초 일본 도쿄제국대 화학과 이케다 기쿠나에 교수는 다시마를 넣고 끓인 물인 맛국물('다시국물'이라는 일본식 용어의 순화어)의 독특한 맛의 비밀을 찾고 있었습니다. 이케다 교수는 4가지 기본맛, 즉 신맛, 짠맛, 단맛, 쓴맛을 내는 재료를 어떻게 조합해도 맛국물 특유의 맛을 만들 수 없다는 데서 이 맛은 독자적인 영역, 즉 또 다른 기본맛이라고 가정했습니다. 그는 대학원생 한 명 없이 연구 부조원과 둘이서 다시마를 갖고 씨름한 끝에 1908년 그 물질을 분리해 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아미노산의 하나님 글루타민산의 염인 글루타민산나트륨(MSG:MonoSodium Glutamate)이 바로 그 주인공. 이케다 MSG의 맛을 우마미(감칠맛)으로 명명했습니다. 이듬해 이케다 교수는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