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직장도 민주화가 되어야 한다
    알면 좋을 것들 2018. 11. 27. 00:18
    반응형

    직장도 민주화가 되어야 한다.


    한국 직장과 달리, 미국에서는 직급이 올라가도 보고서를 자기가 직접 씁니다.

    직급이 상당히 높은 사람도 자기 이름으로 직접 글을 쓰는데 우리 나라는 복잡한 일도 다 아랫사람에게 줍니다

    부장은 차장에게 주고, 차장은 과장한테 주고, 과장은 대리한테 줍니다.

    그러면 대개는 대리가 초안을 잡습니다.

    대리는 아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니 흔히 아는 말로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씁니다. 

    그걸 가지고 과장이 뭐가 빠졌다고 합니다. 

    그러면 대리가 고칩니다. 

    그다음 차장에게 가져가요

    차장은 또 뭐라뭐라 하면 또다시 고칩니다. 

    이것을 여러번 하고서야 부장 이름으로 임원에게 올라갑니다. 


    사람은 누구나 기왕이면 편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권력이 지나치게 위에 몰려 있고, 그 사람이 권력을 남용하면 당연히 아랫사람을 착취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그 권력을 가진 윗사람은 막상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말입니다. 


    한국 직장의 장년층 인적 자원이 빠르게 퇴화하는 데에는 여러 이유가 동시에 작용했을 것니다.


    첫째, 고속 성장기에는 필요한 기술과 지식이 빨리 변합니다. 

    1960~1970년대 학교 다닐 때 배운 것은 원래도 부실했지만 사회에 나온 뒤 빠르게 쓸모 없게 됩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둘째, 그렇게 직장인 재교육 과정은 엉성했습니다. 

    하급직원용 교육은 있지만 고급 지식 노동자로서 필요한 지식이나 리더쉽 교육은 아직도 부실합니다. 

    요새 기업 임원들 상대로 인문학 강좌가 유행인데, 참 한심한 짓입니다. 

    지식 노동자에게 중요한 것은 생각하는 능력, 개념을 갖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인데 그런 교육은 지금도 안 합니다. 


    셋째, 이것이 가장 중요한데, 중간 간부만 되어도 직접 업무를 하지 않고 아랫사람에게 미룹니다. 

    데이터도 직접 다루지 않고 글도 직접 쓰지 않습니다. 

    지식의 심화도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현장에서 멀어지니 원숙하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은 기대하기 어렵지요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뛰지 않고 부하한테 보고만 받으니 아랫사람만 더 볶게 됩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을 순식간에 퇴화됩니다. 

    모든 분야가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나이 든 층이 너무 많은 권력과 보상을 누리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 방식도 너무 착취적입니다. 

    위계질서를 지나치게 남용하지요.

    군대 내무반 문화가 사회 전체를 휘어잡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더 큰 문제는 원청과 하청 간 이중화이기는 합니다. 

    공기업, 대기업 연봉과 중소기업 연봉 차이가 너무 크지요.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같은 기업 안에서도 젊은 사람과 연장자 사이의 이중화는 더 심할 겁니다. 

    이 모든 것이 한국 경제의 생산성을 갉아먹고 있습니다. 


    왜 직장을 민주화해야 한다고 말할까요?


    지식 노동자의 역할이 중요한 현대 경제에서는 경제 조직도 민주화되어 있어야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겁니다. 

    자리가 높다고 권력을 독점하고, 힘든 일은 아랫사람에게 맡기고 자기는 편하게 지내면서 실적만 다그치는 식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방식은 이제 그만두어야 할 때입니다. 


    우리 사회가 조직 내 소수가 권력을 너무 독점해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능력주의, 즉 말 그대로 능력 있는 사람은 그만큼 대우해주면 됩니다. 


    또한 능력주의와 직장민주화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유지하고 긴장을 유지하느냐는 것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능력과 권력, 경쟁과 협력 사이에 어떤 균형이 바람직한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이것은 결국 구성원이 정치로 결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출처 : 메디치, 주진형 지음 

    반응형

    '알면 좋을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해  (0) 2019.02.08
    DHA에 대해, 그리고 DHA의 효과  (0) 2019.02.08
    퇴직연금이란  (0) 2018.11.22
    국민연금상식2  (0) 2018.11.21
    국민연금상식1  (0) 2018.11.2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