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에 대해/경제에 대해

종합주가지수와 증시 양극화

전기 아는 형님 2018. 10. 2. 11:51
반응형

종합주가지수와 증시 양극화


대기업은 자본금이 많으므로 시가총액이 많고, 중소기업은 자본금이 적기 때문에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습니다. 이에 따라 종합주가지수 등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기업의 주식의 등락입니다. 


예를 들어


자본금 50억 원 정도의 중소기업 200개 회사의 주식이 10% 상승하는 것과 자본금 1조 원 상당의 대기업 하나의 주가가 10% 상승하는 것은 종합 주가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합니다. 


2012년 당시 주가지수 2000선은 증시 시가총액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삼성전자, 8% 이상을 차지하는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 주식 10여 개가 2010년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한 데 힘입은 바가 크다, 주가지수 영향력이 큰 10여 개 주식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주식은 2010년 주가 수분보다 낮았습니다. 


간접투자가 증가할수록 대기업에 대한 주식 수요는 증가하고 중소기업 주식은 수요가 감소합니다. 펀드를 운영하는 증권전문가들 입장에서는 자본금이 큰 대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것보다 안정하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은 자본금이 적기 때문에 주식형 펀드에서 매수하면 가격이 급등하고 매도하면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기업들이 무한경쟁에 노출된 것도 주식가격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입니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기업은 성장성, 수익성, 안전성이 확보되지만, 준비 되지 못한 기업은 언제든지 도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부채와 가계부채가 상환능력 이상으로 증가한 것 역시 증시 양극화의 원인입니다. 다수의 중산층이 은행부채 때문에 소비여력이 약화되어 소비가 감소하자,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자본시장을 외국인 투자자에게 개방한 이후 대형주와 중소형주 양극화 현상은 오히려 심화되었습니다. 국내 기관 투자자들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대기업 주식은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개인 투자자들이 주로 투자하는 대부분의 중소 기업 주가는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2012년 말 기준으로 주식 투자자들의 90% 이상은 증시 양극화 현상으로 투자손실을 입었습니다. 개미투자자들 대부분이 안정성과 성장성이 떨어지는 중소기업의 몇몇 업체에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증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면 주가지수가 상승하더라도 경쟁성장률이 둔화될 수 있고,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은행 부실채권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